도서

나는 제주 건축가다: 제주 현상과 제주 건축의 미래

기술과학 나는 제주 건축가다: 제주 현상과 제주 건축의 미래 표지
나는 제주 건축가다: 제주 현상과 제주 건축의 미래 상세정보
저자사항 김형훈 외 지음
발행사항 서울: 나무발전소, 2021
형태사항 271 p.: 삽화; 21 cm
주기사항 공저자: 박현모, 현혜경, 백승헌, 홍광택, 김태성, 양현준, 이창규, 조진희, 권정우, 오정헌, 김학진, 문영하, 강주영, 강봉조, 박경택, 고이권, 김병수, 김정일, 정익수
표준번호 ISBN: 9791186536834 03600: \16000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540.0911
도서관 역삼도서관
마크정보 MARC
https%3A%2F%2Flibrary.gangnam.go.kr%2Fintro%2Fmenu%2F10003%2Fprogram%2F30001%2FplusSearchResultDetail.do%3FrecKey%3D78600565%26bookKey%3D78600567%26publishFormCode%3DBO
상세정보
도서정보 상세보기 NAVER 제공

지역성이란 무엇이며, 건축가로서 제주에서 끌리는 공간은? 제주 풍토를 잘 이해한 건축물은 무엇인가? 지역 건축가의 역할은 무엇인가? ‘미디어제주’의 건축 전문 기자가 제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19명의 젊은 건축가를 인터뷰했다.건축가 대부분은 1970년대생으로 제주에서 성장하여 지역에 대한 자긍심이 큰 세대라는 공통점이 있다. 그들은 20년 이상 건축 활동을 해오면서 고민했던 제주의 땅과 건축에 대한 경험과 생각을 풀어냈다. 독특한 자연만큼이나 제주는 독특한 공간과 모습을 가지고 있다. 한옥도, 초가집도, ‘옴팡진(움푹한)’ 마당도,바다와 뭍의 경계면인 바당도, 올레라는 골목길이 있는 마을도 육지와는 확연히 다른 경험을 제공한다. 이런 제주의 독특한 지역성은 하나의 ‘붐’으로 연결되었다. 제주 붐 중에는 부동산 붐도 있고, 건축 붐이 있고, 제주살이 붐도 있다. 태어나면서부터 제주라는 땅을 딛고 사는 사람과 제주를 자신의 터로 삼기 위해 새로 들어온 사람, 도시개발의 확장으로 달라지는 농촌의 풍경, 거대자본이 밀려오는 현장, 제주의 본모습과 상치되는 건축 행위 등 이런 현상은 제주 건축계에 지역성에 관한 새로운 화두를 던져주었다.‘제주다움’은 무엇인가, ‘제주의 지속가능한 가치를 어떻게 건축 속에 담아낼 것인가’에 대해 다채로운 이야기가 펼쳐진다. 이 책에는 디자인이 잘 된 건축을 기술적으로 소개하거나 설계 노하우를 담고 있지는 않다. 오히려 제주 건축가들의 생각을 통해 현재를 살아가는 제주 사람들의 삶과 문화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이야기가 주를 이룬다. 현대 건축을 좋아하고 아끼는 사람들이나 제주에서 살고 싶은 사람들, 제주에서 건축을 하고 싶은 사람에게 새로운 영감을 던져줄 만한 내용들이다.

소장정보
나는 제주 건축가다: 제주 현상과 제주 건축의 미래 소장정보
선택 대출상태 청구기호 등록번호 반납예정일 자료실 부록 도서예약 상호대차
대출가능
[비치중]
540.0911-김94ㄴ
청구기호출력
YA0000026409 - [역삼] 성인자료실 없음 예약불가 신청하기
    • 대출상태 대출가능[비치중]
    • 청구기호 540.0911-김94ㄴ
    • 등록번호 YA0000026409
    • 반납예정일 -
    • 자료실 [역삼] 성인자료실
    • 부록 없음
    • 도서예약 예약불가
    • 상호대차 신청하기
연령별 대출선호도 정보 (지난 3개월동안 대출건수)
지난 3개월 동안 대출건수
연령 대출
10대미만 0
10대 0
20대 0
30대 0
40대 2
50대 0
60대 이상 0